인기키워드
#203 #코로나 #노인 #2024 #브리핑

랭킹뉴스

  • 1

    아산시, 아산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 등 3개 사업 완료....본격 가동

    아산시가 올해 공공하수처리시설 3개 사업을 모두 완료하고 본격 가동함으로써 하루에 1만 1,270㎥의 하수처리가 가능하게 됐다.485억 원을 들여 12월부터 본격 가동하는 아산공공하수처리시설(증설/3단계)은 기존 1일 하수처리 용량인 72,000㎥에서 11,000㎥를 늘려 총 83,000㎥로 증설돼 원도심을 포함한 신창면, 송악면 등 주변지역 최대 20만 9천여 명분의 하수처리가 가능해졌다.또한, 75억 원을 투입해 12월 완료된 산전지구 소규모 공공하수처리시설은 당초 마을단위 소규모 하수처리시설 신설로 시작했으나 기존 둔포 공공하수처리시설과의 연계 처리로 변경해 오수관로 6.3km와 개인 가옥 내 배수설비 213개소를 설치했고, 이에 따라 둔포면 산전리, 관대리 일대의 완전 분류식 하수처리가 가능해졌다.이에 앞서 108억 원을 투입해 9월 완료된 영인 공공하수처리시설은 2009년 최초 설치(430㎥/일) 이후 이번에 증설(270㎥/일)을 추진해 영인면 아산리, 신운리, 백석포리 일대에 총 700㎥/일 규모로 안정적인 하수처리가 가능해졌다. 이와 같이 아산시는 3개 사업 176억 원의 국도비를 확보해 적기 하수처리시설 확충과 함께 기존 공공하수처리시설과의 통합·연계 처리 등 효율적인 시설 운영으로 지역하천 수질개선과 함께 주민 생활환경 개선에 기여하게 됐다.아산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적극적인 국도비 확보를 통해 선제적으로 공공하수처리시설 확충사업을 추진해 기반시설을 구축하고, 균형적인 지역발전과 수질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세히보기
  • 2

    아산시, 생활체육 인프라 지도 ‘확 바뀐다’

    아산시가 시민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해 오는 2028년까지 778억 원을 투입해 9개의 시설을 신축하는 등 생활체육 인프라를 대폭 확충한다.시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362억 9,500만 원을 들여 총 3개의 새로운 생활체육 시설을 완공했다.4월에는 배방 복합커뮤니티센터(배방읍 공수리 67-30 일원) 내 배방공수스포츠센터(수영장·체육관)가 개관했다. 복합커뮤니티센터는 228억 원을 들여 부지면적 1만 5,181㎡, 연면적 5,646㎡, 지하 1층~지상 3층 규모로 지어졌다.6월에는 128억 5,500만 원이 투입된 둔포국민체육센터(둔포면 중앙공원로 51)를 완공했다. 연면적 2,578.48㎡에 지하 1층~지상 2층 규모에 수영장(25m×5레인)과 다목적체육관(배드민턴 3코트, 탁구 4코트)을 조성했다.11월에 문을 연 곡교천 그라운드골프장(권곡동 353-3번지 일원)은 총 6억 4,000만 원을 들여 부지 1만 1,300㎡에 그라운드골프장 16홀이 들어섰다.시의 생활체육 인프라 확충 계획은 새해에도 지속된다.우선 서부권에 보강되는 체육시설 계획이 눈에 띈다. 하키장 2면(부지면적 7만 9,159㎡)을 조성하는 도고 스포츠 타운(도고면 신언리 산49-11번지)과 축구장 2면과 풋살장 6면(부지면적 6만 303㎡)을 조성하는 선장축구센터(선장면 군덕리 27-14번지)는 2026년 착공을 목표로 실시설계를 진행 중이며 총 335억 원이 투입될 계획이다.파크골프장도 잇따라 개장한다. 18억 원이 들어가는 18홀(부지면적 2만7,000㎡) 규모의 선장 파크골프장(선장면 군덕리 산39-1번지)과, 10억 원을 들여 9홀로 조성하는 인주파크골프장(인주면 걸매리 997번지, 인주일반산단 근린공원)이 2025년에 완공된다.아산제2테크노밸리 산업단지 내 음봉 파크골프장(음봉면 신휴리 766번지)도 12억 원을 투입해 9홀 규모로 2026년까지 공사를 마칠 계획이다.인구 증가와 함께 체육 인프라 수요도 급증하고 있는 배방지역에도 배방족구장(배방읍 휴대리 641번지)이 2025년까지 들어선다. 부지 2,197㎡에 5억 1000만 원을 들여 족구장 2면, 조명탑 2개와 비구방지망 등을 설치할 예정이다.이와 함께 2027년까지 장재 국민체육센터(배방읍 장재리 2140번지)를 건립한다. 180억 원을 투입해 수영장, 다목적 체육관 등을 갖추게 된다.실옥동(368-42번지 일원)에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아산 반다비체육센터가 건립된다. 2027년까지 190억 원을 들여 수중운동실, 다목적체육관 등을 조성한다.이외에도 영인면 고용산에 위치한 궁도장(아산정)은 28억 원을 들여 2027년까지 인근 새 보금자리(영인면 신봉리 산139-91번지, 부지면적 1만 3,000㎡)로 자리를 옮긴다. 아산시 관계자는 “생활체육은 단순한 여가 활동을 넘어, 건강과 복지의 핵심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면서 “매년 늘어나는 생활체육 수요를 해소하고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자세히보기
  • 3

    아산시, 공동주택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등 지원

    아산시가 공동주택 내 재난 발생 시 실시간으로 상황을 전파해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는 ‘스마트 공동주택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지원사업’을 추진한다.이번 사업은 충청남도 보조사업으로 도내 공동주택 비율이 가장 높은 천안‧아산을 시범지역으로 해 추진하며, 아산시는 총 6,000만 원을 지원받을 예정이다.주요 기능으로는 △재난상황 발생 시 긴급알림(ARS전화+문자+톡) △미수신 여부 확인 및 재알림 △시청각 장애인 등 안전취약계층 수신 차별화 △주차안심번호를 통한 신속 알림 △시‧도정 소식을 시‧도민에게 실시간 전달하는 소통 체계 기능 등이 탑재된다.지원 대상은 사용검사일로부터 5년이 지난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이며, 심사기준에 따라 단지별 노후도, 규모 및 참여도 등의 정량평가로 기본점수가 정해진다. 이어 ‘아산시 공동주택 관리 조례’에 따른 공동주택 지원 심사위원회에서 사업 필요성과 효과성을 정성 평가해 심사점수가 더해지며, 점수가 높은 단지 우선순으로 사업을 추진한다.시 관계자는 “스마트 공동주택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한 신속한 상황전파 및 재난예방 등 효율적인 공동주택 관리로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스마트 공동주택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지원사업의 심사기준, 제출서류 등 세부적인 내용은 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자세히보기
  • 4

    아산시, 무료공영주차장 내 장기 방치(주차) 차량 단속 시행

    아산시가 무료공영주차장 내 장기 방치(주차) 차량에 대해 2025년 1월 1일부터 1개월간 단속홍보 및 계도 후 2월부터 단속을 지속 실시할 예정이다.이는 「주차장법」 개정 및 「아산시 무료공영주차장 장기 방치 차량 방지 조례」 제정에 따른 것이다.그동안 무료공영주차장 내 장기간 방치(주차)된 차량으로 주차공간 부족, 안전사고 우려 등 지속적인 민원이 제기됐지만, 이를 조치할 법적 근거가 마련되지 않아 시민 불편이 가중됐다.이번 조치에 따른 단속 대상은 무료공영주차장 내 장기간 방치 및 주차된 차량으로 1개월(자동차가 분해파손되어 운행이 불가한 경우 15일)이상 방치 주차된 차량이며, 일반차량은 물론 캠핑카(트레일러, 카라반 등)도 포함된다.단속된 장기 방치 및 주차된 차량의 소유주는 이동조치 명령을 이행해야 하며 미이행 시 차량 이동 견인 조치 또는 강제 폐차도 시행할 예정이며 그 비용은 차량 소유자에게 부과된다.시 관계자는 “법 시행에 따른 무료공영주차장 내 장기방치 및 주차차량에 대한 단속과 처리로 주차공간 확보는 물론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모든 시민이 함께 이용하는 공영주차장인 만큼 시민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자세히보기
  • 5

    아산시, 신속한 제설로 시민 불편 최소화

    아산시가 최근 동절기 폭설 및 도로결빙으로 인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대적인 동절기 설해 대책을 추진했다.시는 지난 8일 평균 적설량 3.9cm, 최고 5.2cm에 달하는 폭설에 따른 교통혼잡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기상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하는 비상근무 체계에 돌입하고 관내 주요 도로에 대한 발빠른 제설작업을 실시했다.또한, 17개 읍․면․동 행정복지센터(1톤 트럭 제설기 20대), 자율방법연합대(현명섭 사무국장, 20개 지대)와 연계하여 기타 이면도로에 대한 제설작업도 신속하게 추진하며 폭설로 인한 시민 피해를 최소화했다.올해는 특히 지구온난화와 이상기후로 인한 국지적인 강설이나 돌발적인 기상현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폭설·한파 대비 제설작업 준비를 더욱 철저히 한다는 계획이다.굴삭기 6대, 덤프트럭 20대, 살포기 41대 등 제설장비를 확보하고 노후화된 제설장비(살포기) 7대 교체하였으며, 비식용 소금 3,850톤, 염화칼슘 350톤, 친환경제설제 400톤 등 제설 자재를 확보하여 관내 5개 제설창고에 비치하였다.하반기에는 특별교부세(400백만 원)를 확보해 2025년 내 자동염수분사장치도 추가 설치할 예정이다.시는 “대설로 인한 도로결빙과 한파로 시민분들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더욱더 신속하고 철저한 제설작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자세히보기

아산시에서 창작된 랭킹뉴스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분야별 랭킹뉴스

더보기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