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시보건소, 2016년 유아튼튼이 교실 운영
- 지역사회 연계 유아칫솔질, 구강검사, 퀴즈 등 풍성한 프로그램 아산시보건소(소장 김기봉)는 미취학 아동의 구강건강을 위한 ‘유아튼튼이 교실’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유아튼튼이 교실은 주민 체감과 호응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지역사회 연계기관과 협력하여 『치아사랑 뮤지컬공연』, 부모교육『도전 치아짱 가족구강퀴즈대회』, 영아대상 『튼튼이 Fun kid's School』, 취약계층 대상 『Start! 백세치아교실』등 다채로운 방법으로 해마다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김기봉 소장은 "유아기부터 구강보건사업을 통한 유아들의 체험 교육으로 개인 구강관리를 습관화하여 장래에 구강병을 예방하고 삶의 질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고 말했다. 사업문의나 참여 신청은 아산시보건소 구강보건팀(☏041-537-3303)를 방문 또는 유선으로 하면 된다. 한편, 유아튼튼이 교실은 아산시 보건소가 10년여 동안 지속해온 사업으로 바른 칫솔질 교육과 불소 도포, 구강검진 등을 실시하여 지역 유아 구강건강증진에 지대한 역할을 해왔고, 실제로 2012년 보건복지부에서 국민구강실태조사결과 만5세 아동의 충치경험은 전국 62%, 평균 충치수는 전국 2.8개로 조사됐으나 작년 아산시의 만5세 아동의 충치경험은 53%, 평균 충치수는 2.3개로 전국에 비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아산시, 흰줄숲모기 대응 국민행동수칙 홍보
- 지카바이러스 유입에 대비하세요. 아산시보건소(소장 김기봉)는 최근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관내 유입에 대비하여 매개체로 알려진 흰줄숲모기에 대응하는 국민행동수칙 홍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에 따르면 흰줄숲모기는 3월에 알에서 깨어나 5월부터 10월까지 활동하며 주로 숲과 숲 근처 주택가 인근에 서식하며, 특히 쓰레기통, 오래된 폐타이어, 나무구멍, 화부나 배수로 등에 흔히 서식하기 때문에 살충제나 곤충성장억제제를 사용해 방제해야 하고, 아울러 개인청결유지와 모기장을 사용해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국민행동수칙에는 지카바이러스 매개모기인 흰줄숲모기의 생태적특성과 유충서식지 제거방법, 개인보호를 위한 올바른 의복착용 등의 방제방법이 있다. <흰줄숲모기 유충 제거 행동수칙> ◎ 집 주변의 폐타이어, 인공용기(유리병, 플라스틱 통 등), 쓰레기통 에 담긴 물은 최소한 일주일에 한번씩 버립니다. ◎ 화분이나 받침에 고인 물은 버리고 화분은 물이 잘 빠지도록 흙 교체 ◎ 꽃병과 애완동물 식기의 물은 최소한 일주일에 한번씩은 교체 ◎ 물이 빠지는 배관 및 배수구 주변은 깨끗이 청소합니다. ◎ 빗물이 담길 수 있는 용기, 버려진 깡통, 깨진 용기 등은 제거하거 나 뒤집어 놓습니다. ◎ 물이 담긴 대형 탱크, 용기 등은 뚜껑을 덮어 밀폐하고 뚜껑이 없는 경우 모기 성충 보다 작은 구멍의 철망이나 모기망을 사용하여 덮어 놓습니다. ◎ 집 주변 풀은 짧게 관리하고 잡초도 제거합니다. <개인 보호 행동수칙> ✤ 야외 활동시 올바른 의복 착용 ◎ 야외활동시 밝은색의 긴바지와 긴소매 옷 착용 ◎ 모기가 흡혈하지 못하도록 품이 넓은 옷 착용 ◎ 신발의 상단, 양말, 바지 밑단에 기피제 처리 ✤ 개인 청결 유지 및 모기장 사용 ◎ 숲 등 야외 활동시 향수나 화장품의 사용 자제 ◎ 야외 취침시 텐트내 기피제가 처리된 모기장 사용 ✤ 기피제 사용 ◎ 식약청에 등록된 기피제 사용 ◎ 기피제 사용시 제조회사에서 제시하는 농도와 처리시간 준수 ◎ 2세이하 어린이는 기피제 사용 금지아산시,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유입대비 방역·감시체계 강화
- 질병 매개해충 방제를 위한 유충구제 소독실시 아산시보건소(소장 김기봉)는 최근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감염증의 관내 유입에 대비해 적극적인 방역 및 감시체계를 강화해 펼치고 있다고 밝혔다. 지카바이러스가 모기를 통해 바이러스가 옮겨지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해빙기 방역소독을 위하여 방역기동반을 가동해 생활 주변의 모기 서식처를 제거하고 읍면동 정화조, 웅덩이, 하수구 등 유충이 월동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방역취약지를 선정하여 유충구제 방역소독을 집중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모기해충 방제 활동을 전개 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독의무대상시설의 지하 공간 및 집수정 등의 매개 모기 서식지를 포함하여 정기적인 매개체 방역이 이뤄질 수 있도록 관리·감독 또한 강화해 나아갈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해외여행자의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을 위하여 각 읍면 보건지소와 보건소에서 모기 기피제와 예방행동수칙 리플릿을 제공하고 있으며 시민들의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 불안감 해소를 위해 매개모기 생태 및 예방행동수칙 등을 게시하여 널리 전파하고 있다. 김기봉 소장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원천 차단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하다” 며 “행동수칙을 준수하고 생활주변의 모기 서식처(나무구멍, 인공용기, 폐타이어, 화분, 양동이, 캔, 막힌 배수로, 애완동물 물그릇 등 다양한 소형용기의 고인 물에 산란 서식)가 발생하지 않도록 환경 위생관리에 적극 협조해 주시기 바란다” 고 당부했다. 한편, 현재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은 중남미 국가를 중심으로 전 세계 31개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미국, 중국 등에서는 해외에서 감염되어 유입된 환자가 보고되고 있으나, 국내에서 현재까지 해외유입 발생 환자는 없는 상태이며 의심환자도 모두 음성으로 판정되었다.아산시보건소,‘2016년 건강도시 공모전’실시
- 건강한 도시 아산을 표현해 주세요 ! 아산시(시장 복기왕)는 2016년 건강도시 활성화 및 제 1회 아산 건강 한마당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이달 15일부터 3월 21일까지 35일간 ‘2016년 건강도시 아산 공모전’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공모분야는 일상생활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재미있는 건강체조를 하는 창작프로그램 영상 등 UCC, 제1회 아산 건강한마당 홍보 포스터 디자인, 건강도시 아산과 활동적인 생활환경조성의 의미를 함축한 20자 이내의 한글 슬로건 등 3분야로 전 국민 누구나 개인 또는 팀으로 참여할 수 있다. 부문별 출품 수는 1인(팀)당 2점 이내이며, UCC는 참가신청서 및 작품설명서 그리고 5분내외의 영상을, 포스터디자인은 참가신청서 및 A1사이즈의 포스터디자인을, 슬로건은 참가신청서와 작품설명서(20자이내 한글)를 제출해야 한다. 공모결과 발표는 3월 31일 아산시보건소 홈페이지 게재 및 개별통지하며 시상은 4월 21일 ‘제 1회 아산 건강한마당’ 행사장소에서 시상하게 된다. 부문별 4명 총 12명에게 수상하며, UCC와 포스터 디자인 부문은 최우수상 1명에 100만원, 우수상 1명에 50만원, 장려상 2명에 15만원의 상금을 지급하고, 슬로건 부문은 최우수상 1명 20만원, 우수상 1명 10만원, 장려상 2명에 5만원을 지급한다. 한편, 아산시보건소는 이번 공모전의 포스터 디자인 수상작을 ‘제1회 아산 건강한마당’ 포스터 디자인으로 활용하고, UCC 수상작은 건강 한마당 행사 시 동영상으로 표출할 예정이고, 슬로건 수상작은 각종 아산시보건소 건강도시 사업수행에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공모관련 서식은 아산시청 홈페이지(http://www.asan.go.kr)나 아산시보건소 홈페이지(http://health.asan.go.kr) 공지사항에서 다운로드 받거나, 아산시보건소(☏041-537-3436)에 방문수령하면 되고, 기타 세부사항 또한 홈페이지를 확인하거나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아산시, 상수도 급수공사.. 3월 2일부터 재개
아산시 수도사업소(소장 이상춘)는 동절기 부실시공 방지를 위해 작년 12월부터 올해 3월 1일까지 중지한 상수도 급수공사를 3월 2일부터 재개한다고 밝혔다. 상수도 급수공사는 수용가의 신청에 의해 신설, 개조, 수선, 철거, 수전분리 등으로 구분되며, 상수도 급수공사를 원하는 경우는 급수공사 시행 승인신청서 및 구비서류를 상수도과에 제출하고, 납부기한 내(고지서 발부일로부터 1개월) 공사비를 선납하면 된다. 이상춘 소장은 “작년에 1,725건의 급수공사를 시행했으며, 올해에도 원활하고 안정적인 상수도 공급과 보다 나은 수도행정을 위해 최선을 다 할 것이다” 고 말했다. 기타 궁금한 사항은 아산시수도사업소(☏041-537-3524, 3525)로 문의하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아산시에서 창작된 생활·건강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