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키워드
#203 #노인 #코로나 #브리핑 #kbs

효자·효부의 정려(旌閭)를 찾아간다

2009.09.04 최종수정 1,777

천경석 (온양고등학교 교사 / 아산향토연구회)


 올해는 추석이 좀 늦어진다. 9월 중순이면 곳곳에서 산소 벌초하는 소리가 들릴 것이다. 아산 지역을 다니면서 정려가 참 많다는 것을 새삼 느낀다. 요즘 세상에 누가 효자·효부·열녀를 찾고 알아주겠는가. 시대와 맞지 않는(?) 얘기다. 물론 열녀에 대해서는 나도 부정적이다. 그러나 조선시대와 행태나 방식은 많이 달라야 하겠지만, 그래도 효자·효부(孝婦)에 대해서는, 지금 이 시대에도 분명 의미가 크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추석을 한 달여 남겨 둔 오늘, 이번에는 정려를 살펴보기로 한다.



효열(孝烈)의 고장 아산


 지난해 말 온양문화원과 함께 정리한 소책자 『아산효열정려지』에는 아산시 지역 63명의 효자·효부·열녀에 대해 기록되어 있다. 누락된 배방 회룡리의 효자 전효원(全孝源) 정려를 포함하면 64명이다(효자 37, 효부 5, 열녀 22).


 문서 자료나 정려, 효자비 등 명확한 근거가 있는 분들이다. 이름 등만 간략히 전하는 분들까지 하면 훨씬 많다. 현재 26 기의 정려가 있고 비석이나 돌기둥이 전하는 곳이 3곳이다. 곳곳에 정려가 있다고 보면 된다.


 송악면 동화리 2리에 있는 효자 강인수(姜麟壽)의 정려를 보자. 그는 부친 와병에 좋은 약을 구해 지극정성으로 간병했고, 한겨울에 부친이 수박을 찾으시자 백방으로 노력한 끝에 마른 덩굴에서 수박을 찾아서 드리니 병이 나았다. 뒤에 부모님이 돌아가심에 예를 갖추어 장례를 모시고 3년간 여막에서 시묘했다. 이런 효행으로 선릉참봉에 추천되었고 정려가 내려졌으며 후에 정3품 통정대부에 추증되었다.



 정(旌)은 왕의 뜻을 전하거나 왕명을 받은 자가 지니던 깃발을 의미했지만, 넓게는 왕명을 적은 현판(懸板)까지 포함했다. 려(閭)는 마을 입구나 길가에 세운 문(門)인데 정을 걸어 놓은 건물을 뜻하게 된다. 정문(旌門)이라고도 해서 효자문, 열녀문이라는 말도 자주 쓴다. 비각처럼 생긴, 홍살을 두른 한 칸짜리 건물 형태가 대부분이지만 대문 위에 걸기도 했다(아산에는 없음). 


 배방 중리의 맹사성 효자리비처럼 비석을 세운 곳도 많다. 어떤 사람이 효행이나 열행을 했을 때 당대에 또는 후대에 그 행실을 기리기 위해 지역의 유림들이 수령이나 감사를 통해 정부에 요청한다. 사실이 명백하면 왕에게 아뢰어 왕명으로 표창한다. 우리 고장은 왕의 온양행궁 행차 때에 아뢰기도 했고, 암행어사가 파악해서 상신하는 경우도 있었다.


 표창은 정 또는 비와 함께 상품을 받기도 했고 세(稅)나 역(役)을 면제해주는 등 다양했다. 사대부의 경우 관직을 받거나 사후에 추증되기도 했다. 열녀는 남편을 따라 죽거나 정절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끊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아무래도 오늘날과 맞지 않는다.


 효행의 경우는 부모 간병 시에 약은 물론이고 손가락을 베어 피를 드리거나 대변을 맛보며 최선을 다하는 경우가 많다. 잉어·수박·대추·무순·오골계·금두꺼비·꿩알·오골계 등 귀하거나 철이 맞지 않는 것들을 구해다 드리는 경우가 많다. 물론 3년 시묘는 거의 기본이다. 옛날엔 흔한 일이고 비슷비슷하지 않느냐고 깎아내리면 안 된다. 조선시대에도 무척 힘든 일이었다.


 오늘날에도 현실에 맞는 효행과 열행은 얼마든지 가능하고 의미가 있는 일임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돌아가신 뒤에 묘소를 거창하게 만들거나 제사를 뻑적지근하게 준비하는 것은 사실 산 자들을 위한 일이다. 어버이 살아신 제 섬길 일란 다할 일이다.


 


기사 목록으로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