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키워드
#203 #노인 #코로나 #브리핑 #kbs

염치 세심사에 가다

2009.05.27 최종수정 2,744

천경석 (온양고등학교 교사 / 아산향토연구회)


 가장 싱그러운 5월도 끝자락을 향해 간다. 집 밖으로 나서면 주위는 온통 산뜻한 초록빛이 그득해서 눈은 물론 마음까지 편안해진다. 오늘은 우리 고장의 오래된 사찰로 영인산 자락에 아늑하게 자리 잡고 있는 세심사(洗心寺)에 가서 마음을 씻어보자.


삼한 고찰 세심사
  세심사는 염치읍 산양리에 있다. 곡교천과 나란한 624번 도로를 따라 인주 쪽으로 5Km쯤 가서 산양리 마을로 들어선다. 역사가 오랜 이 마을 가운데를 지나 영인산 자락으로 올라가면 좁지만 아름다운 산길을 따라 절집에 들어선다.
  세심사는 봉곡사, 인취사 등과 함께 우리 고장의 고찰(전통사찰 제61호, 1988.9.20) 중 하나로 “삼한고찰(三韓古刹)”이라고 한다. 삼국시대부터 있던 절이라는 얘기다. 백제 때 창건하고 신라 선덕여왕 14년(654년)에 자장이 중창했다고 전한다. 백제 멸망이 서기 660년인 것을 감안하면 뭔가 안 맞는다. 현재 가장 오래 된 유적인 석탑은 고려시대의 것이다. 그러나 뭔가 사연이 있을 터이니 천년이 넘은 옛일일랑 “그렇게 전해지는구나.” 하고 그냥 받아들이자. 조선시대의 여러 자료에 신심사(神心寺) 기록이 있으니 오래 명맥을 이어 온 절이다.



  이 절은 조계종 사찰로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末寺)이고 비구니 사찰이다. 1996년에 들렀을 때 뵈었던 법련(法蓮)스님이 당시에 이 절에 온 지 41년이 되셨다고 하니 오랜 동안 계속 비구니 사찰이었다. 봉곡사에 비구니 스님이 오래 계셨다가 비구스님으로 바뀌었던 것과 비교된다. 지금은 이미 40년 전부터 이 절과 인연을 맺어 오신 지성(智性) 스님이 주지로 계신다. 눈빛이 참 고우신데 공사 때문에 애를 많이 쓰신다.


불교 문화 공부의 보고
  작은 절이기는 하지만 우리 고장의 절 중에서는 그래도 전각 수가 많은 편이어서 절집에 대해 공부하기에는 가장 적절한 곳이다. 대웅전 외에도 영산전·산령각(산신각)·범종각 등과 스님들이 지내시는 요사채가 있다. 작년에 공사를 시작해서 현재 건물 자체는 완성된 장판각(藏板閣)과 올해 시작해서 공사 중인 누문(樓門) 형태의 새 범종각 등도 조만간 마무리될 것이다.
  이곳에는 충청남도 지정 문화재가 셋이나 있다. 문화재 자료 제231호(1984.5.17) 세심사 다층탑, 유형문화재 제167호(2000.7.30) 세심사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유형문화재 제192호(2007.10.30) 아산 세심사 신중도 등이다.
  탑은 청석(靑石-실제로는 검게 보임)으로 만든 고려시대의 9층 석탑이다. 1000명 대중이 있어야 이런 탑이 있다고 하는데 이 작은 절에 귀한 탑이 있다. 원래는 지붕돌만 있던 특이한 형태의 탑이었는데 1956년에 일타(日陀)․도견(道堅)스님이 보령에서 비슷한 돌을 구해다가 몸돌을 끼워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원형에서 바뀐 점은 아쉽지만 높이가 3.9m나 되니 늘씬해서 보기는 좋다. 화강암으로 된 3단 기단부 위에 청석으로 된 기단부가 있다. 청석 기단부의 고임돌 등으로 고려시대의 양식임을 알 수 있다.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은 목판 13매인데 조선 명종 18년(1563년)에 제작된 것으로 우리나라에 전해지는 같은 경판 중 가장 오래 된 것이다. 글씨 외에도 내용을 설명하는 그림(변상도) 21장면이 있다. 문화재이기 때문에 일반인이 쉽게 볼 수는 없다. 몇 년 전에 관련 연구서가 발간되었다.
  신중탱화는 대웅전 안에 있다. 대웅전에는 일반적으로 석가모니불이 모셔지지만 이곳에는 소조(塑造-흙으로 만듦)아미타여래좌상이 모셔져 있다. 사찰의 변천 과정에서 전각 이름과 불상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종종 있다. 뒤에 있는 탱화는 영산회상도이다. 오른쪽 신중단 벽면에 신중탱화(神衆幀畵)가 있다. 정조 18년(1794년)에 화사 승초(勝初)·원정(元正)·보심(普心)·품관(品寬)·대운(大云) 등이 그린 것이다.




  대웅전 왼쪽 뒤에 영산전으로 오르는 계단 중간에 조선시대의 전형적인 석종형(石鐘型) 부도(승려탑) 2기가 있다. 계란처럼 둥근 몸돌에는 松梅堂(송매당)이라 새겨져 있다. 같은 이름의 부도가 둘이 있는 것이 특이하다. 13년 전에 들렀을 때는 절 입구 길 옆 산자락에 3기를 모아 세운 상태였는데 그 얼마 뒤에 1기를 도난당했다. 하필이면 절 이름이 되는 ‘洗心堂(세심당)’ 당호가 새겨진 부도였다. 그 뒤 보존을 위해 지금 자리로 옮겨 모신 것이다. 정확한 시기는 모르지만 수십 년 전에 절을 정비할 때 귀신 신(神)자가 들어가는 것이 좋지 않다고 생각하여 부도 중에서 ‘세심당’을 택하여 신심사를 세심사로 바꾼 것이다.
  석가모니의 제자들을 모신 영산전(靈山殿)에서는 석가모니삼존불과 16나한상, 영산회상도·나한도·독성도 등의 불화를 볼 수 있다. 산령각(山靈閣-산신각)에는 칠성탱화(1935년)와 산신탱화(1937년)가 모셔져 있다. 범종은 34년 전인 불기 2518년에 제작된 것이다.


  산중턱에 자리 잡아서 여러 전각들이 지형에 따라 아기자기하게 배치되어 있다. 비구니 사찰이라 그런지 곳곳에 여러 가지 꽃들이 많아서 참 곱고 예뻐서 좋다. 혹시 절에 가서 차를 한 잔 얻어 마시고 싶다면 갈 때 미리 과일이라도 좀 들고 가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기사 목록으로
위로가기